2000 여름 영상문화학교

21세기 신문명 디지털 문화 읽기, 하나   2000_0710 ▶ 2000_0714

유비호_강철태양_디지털 영상_2000

매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주최_한국영상문화학회

이화여자대학교 SK 텔레콤관 B01

'우리는 비트와 디지털 이미지에 하부기초를 둔 새로운 정보영상시대에 돌입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한 매체기술의 변화가 아니라 근원적인 문명사적 변동을 예고하는 사건이다.' 한국영상문화학회 창립선언서 「영상문화학을 위하여」에서

일정   0710(월) 01:00pm 여름 영상문화학교 개교에 즈음하여·도정일   0710(월) 01:20pm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디지털화와 상호 작용성의 의미·김주환   0710(월) 03:40pm 디지털 영상학-음향과 영상의 서사학·서정남   0711(화) 01:00pm 디지털 시대와 동아시아 신화와 상징·정재서   0711(화) 03:40pm 디지털 시대의 사진-이미지는 의미하는가?·이영준   0710(수) 01:00pm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가상세계와 마음의 생태계·김민수   0710(수) 03:40pm 디지털 시대의 미술-새로운 환경에 미술은 어떻게 변화하는가·성완경   0710(목) 01:00pm 디지털 시대의 생각-영상과 더불어 철학하기·김상환   0710(목) 03:40pm 디지털 시대의 책 - e-book의 현재와 미래·안성원   0710(금) 01:00pm 디지털 시대의 영화-디지털 시네마·김소영   0710(금) 03:40pm 디지털 시대의 방송-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황인뢰

강사 프로필 김주환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동대학원 졸업. 볼로냐 대학에서 기호학 수학.·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 취득.·보스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역임. 현재 연세대학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철학, 디지털 저널리즘, 기호학,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 등을 강의하고 있음.· 주저 『디지탈 기호로 이루어진 세상』 서정남   동국대학교 교수. 프랑스 nancy 2 대학 영화학 박사. 영화평론가.·주요 논문「히치콕의 영화, 나는 고백한다(I confess)」의 서스펜스 연구,「영화 제임스 본드 007 시리즈의 서사체계 연구」, 「영화의 작중 인물-성격에 관한 연구 논고」,「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영화 음영 서사에서 초점화와 서술의 문제」등.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중국문학 석·박사. 『불사의 신화와 사상』로 1994년 제35회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주저 『동양적인 것의 슬픔』『동아시아 연구』, 『산해경』(역) 이영준   서울대 강사. 사진평론가. 사진잡지 『눈빛』편집위원.·서울대 미학과 대학원 석사. 뉴욕 주립대(빙햄턴) 미술사 박사. ·주저 『사진, 이상한 예술』 김민수   전 서울대학교 미대 교수. 미술평론가. 한국영상문화학회 기획학술이사 및 학술지 편집위원.·『디자인 문화 비평』편집인. 서울대 응용미술학과 대학원 졸업. 미국 프랫인스티튜트에서 산업 디자인 석사.·뉴욕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음. 논문「시각 예술의 관점에서 본 李箱詩의 혁명성」은 세계적 학술지『Visible Language』1999년 겨울호에 한국 학자 최초로 수록됨.·주저 『모던 디자인 비평』,『멀티미디어 인간 이상은 이렇게 말했다』 성완경   인하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상산환경조형연구소 소장. 한국영상문화학회 공동 대표. 미술평론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수료. 파리 제8대학교 조형예술학 전공. '한양에서 서울까지 - 서울 600년 도시문화기행전' 총감독, '95·97 광주비엔날레국제전' 커미셔너. 주요 작품「부산 지하철 중앙동역 벽화」(1987)「밀라노 트리엔날레 서울관 슈퍼그래픽」외 다수.·주저 『한국현대미술과 비평』,『산업사회와 미술』 김상환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계간『사상세계』편집위원,『창작과비평』편집자문위원. 파리 제4대학에서 프랑스 철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경계와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글쓰기로 독창적인 철학적 행보를 보여줌.·주저 『해체론시대의 철학』,『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안성원   (주)이오커뮤니케이션 이사.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경영학과 졸업. 현대경제연구원 경영전략본부 연구원을 지냈으며,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e-book 관련 회사인 와이즈북을 창업. ·주저 『정보기술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교수. 여성영화진단 '바리터' 회원. 한국영화아카데미 1기 졸업. 뉴욕대학에서 영화이론 전공. 서울여성영화제 및 2000년 전주영화제 기획. 탄탄한 영화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한편, 영화평론가와 영화제작자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음. ·주저 『시네페미니즘 ―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시네마 ― 테크노문화의 푸른 꽃』 황인뢰   (주)JRN 공동대표. 1999년까지 방송국 PD로 활동. 「샴푸의 요정」「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고개 숙인 남자」등 다수의 단막극과 드라마 연출. 자연의 서정성과 인간 심리의 섬세한 묘사가 어우러져 특유의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이룸. (1990), 『백상예술대상 작품상』(1997) 수상. ·주요 작품「누군가를 사랑하려는 이유」「연애의 기초」「도시에서의 사랑」「간직한 것은 잊혀지지 않는다」「꽃을 든 남자」(영화), 「하드록 카페」(뮤지컬) 외 다수.

수강료│80,000원( 학생 할인 50,000원 / 당일 수강 10,000원) 입금계좌│국민은행 042-21-0603-506, 예금주/ 박광성 문의│ 전화 928-2266(담당자 조숙위), treebook@chollian.net 홈페이지│한국영상문화학회 www.Kavic.org 강의실 위치│이대 후문 이대부속중고교 옆

Vol.20000707a | 2000 여름 영상문화학교

Art Pea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