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미술인회의 홈페이지로 갑니다.
인사미술공간 4층 서울 종로구 관훈동 100-5번지 Tel. 02_760_4722 www.insaartspace.or.kr
미술인회의 공공미술분과에서는 2004년 일련의 공공미술 세미나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들을 점검한 바 있습니다. '작은 제안들'이라는 이 기획은 시각예술을 수단으로 공동체의 문제들을 다루는 미술가들의 활동을 일종의 사회적 제안의 차원에서 바라보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의 '작은 제안들 2'는 지난 해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구체화시키자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올해 프로그램은 공공미술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활동이 축적되면서 되풀이되는 구조적인 문제들을 점검하는 한편, 공공미술 활동에 관심이 있는 작가, 기획자,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현장과 연결될 수 있는 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아카데미는 일반 이론에서 벗어나 주요 토픽과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강좌(1-3부)와 공공미술 계획과정을 다루는 워크숍(4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미술인회의 공공미술분과
■ 2005 미술인회의 공공미술 아카데미 강좌안내
● 일시_2005_0607 ▶ 2005_08?? (각 강좌별 일시 아래 확인 요망) ● 시간_07:00pm ~ 09:00pm ● 장소_인사미술공간 4층 ● 후원_한국문화예술진흥원_인사미술공간
● 수강료_1부 ~ 3부(11강좌): 6만원_4부(11강좌): 4만원 / 부분수강 - 강좌 당 1만원(2강좌 이상) / 전체(1-4부) 수강 - 8만원 ● 접수방법은 다음의 계좌로 입금 후, 미술인회의 사무처로 방문하여 접수하시거나, 수강 신청서를 이메일(wisdom2828@hanmail.net)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수강신청서 양식은 misulin.org의 자유게시판에 있습니다)_입금계좌 기업은행 422-014819-02-012 (예금주: 김지혜) ● 수강생에게는 강좌 원고와 미술인회의 공공미술분과 '2004 작은 제안들' 자료집 등이 제공됩니다.
● 신청시 주의 사항 ① 강좌 시작 전까지 수강 취소 및 수강료 환불 가능합니다. ② 강좌 시작 이후 수강 취소 시 환불 불가능합니다. ③ 부분 수강은 강좌 당 1만원이며 2강좌 이상 가능합니다. ④ 강의 장소(인사미술공간760-4721)를 사전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_Tel. 02_738_5420_미술인회의 사무처 / 이메일 wisdom2828@hanmail.net 김지혜
■ 강좌일정
● 1부_현실의 풍경, 건축물 미술장식법 운용의 실제와 평가
제1강_2005_0607_화요일_현 단계 공공미술 프로세스에 대한 재검토_윤태건(미술인회의 유통구조분과장) ● 지금까지 한국의 공공미술은 미술시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많은 역할을 해 왔다. 사립 화랑들이 생각해온 공공미술의 상과 그 프로세스과정은 어떠한 형태인지, 현행법을 관리하는 공무원과 심의위원회, 작품을 수주하는 건축주, 작품을 직접 기획 설치하는 작가 내지 상업화랑(기획사) 사이의 관계와 긍정적인 역할모델을 탐색해 본다. 이러한 역할과 프로세스에 대한 검토는 앞으로 공공기관의 공공미술이 현실화될 경우 어떠한 형태로 작가, 코디네이터, 심의위원회, 건축주가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상도 마련할 수 있으리라 본다.
제2강_2005_0608_수요일_현행 건축물 미술장식법의 이해와 비판적 모색_박삼철(아트 컨설팅서울 소장) ● 작년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한 '건축물 미술장식법' 개정에 대한 흐름은 미술계에 다양한 이해와 시선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개정을 주장한 문광부의 근거는 무엇이고, 기존의 법이 양산한 문제점들은 무엇인지 현장에서 직접 제도와 관계하면서 일을 추진해 나간 기획자의 입장에서 현행법에 대한 비판적인 모색을 통해 새로운 공공미술 제도의 상과 운영시스템에 접근해 보도록 한다.
● 2부_가지 않은 길, 새로운 경향의 공공미술
공공미술을 조직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풍부한 해외 사례를 소개한다. 본 아카데미에서는 주로 서구에서 최근 20년간 선보인 뉴장르 퍼블릭 아트와 아방가르드 미술사례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제1강_2005_0614_화요일_사례 발표 1_공공미술분과 연구팀 ● 「충만한 그룹」, 「텔레비젼 이웃」, 「플러드」, 「타자들에 이름붙이기」
제2강_2005_0615_수요일_사례 발표 2_공공미술분과 연구팀 ● 「시카고 도시생태학 활동 그룹」, 「노동조합원들이 희망의 막대 사탕을 만들다」, 「두드러진 영역」
제3강_2005_0621_화요일_공공미술의 이슈들_전용석(미술인회의 공공미술분과장) ●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에 대한 비판들을 검토하면서 전반적인 상황을 점검해 본다. 공공미술 프로그램에 있어서 지속가능성, 사회사업과 공공미술 프로젝트간의 구분, 공동체와 작가의 관계설정, 전시장에서 공공미술을 프레젠테이션하는 문제 등을 2004년 세미나와 기타 외국 사례 등을 통해 점검한다.
제4강_2005_0622_수요일_미술의 공공성과 '관계'로서의 미술_박찬경(대안공간 풀 디렉터, 작가)
제5강_2005_0625_토요일_03:00pm~05:00pm_공공미술에 있어서 공공성의 문제와 뉴장르 공공미술의 실천_김인규(작가, 미술교사) ● 미술에서 공공성의 성격을 둘러 싼 쟁점들을 역사적인 배경을 통해 정리하면서 뉴장르 공공미술을 소개함과 함께 뉴장르 공공미술이 주장하는 공공성의 성격과 한계를 살펴본다.
제6강_2005_0626_일요일_03:00pm~05:00pm_영역을 지도화하기 Mapping the terrain_김인규(작가, 미술교사) ● 수잔 레이시가 쓴 이 책은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에 대해서 가장 개론적이면서 비평적 개념들을 잘 정리, 접근해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장에서 활동하려는 공공미술가들에게 유익한 핵심적인 개념과 기획 과정에서 불거지는 여러 가지 암초에 대하여 공공예술가가 견지해야 하는 자세에 대해서 소개한다.
● 3부_도시 공간과 공동체 속에서 공공미술 조직하기
제1강_2005_0627_월요일_도시 공간 디자인으로서의 공공미술_이영철(계원조형예술대학 교수) ● 서구의 경우 적극적인 개념의 공공미술은 도시 공간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다. 이는 건축가, 도시계획가, 행정가, 조경가, 미술가가 하나의 팀을 이루어 일정한 도시 공간을 미적으로 계획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최근 안양시의 '안양유원지 공공예술프로젝트'가 발주되면서 관심을 끌고 있는 영역이고, 장기적으로 지자체와 문화관련 단체들이 통합적인 시스템을 통해 지역문화에 대한 개입을 의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영역이다. 본 강좌는 서구의 시나 지자체가 어떻게 '공공미술 마스터플랜'을 짜고 실행해 나가는지, 실제 실행된 케이스에 대한 검토 및 국내에서는 어떤 식으로 적용 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제2강_2005_0704_월요일_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방안 "주민 참여형 마을 만들기"_정석(서울시정 개발 연구원) ● 지방자치시대의 본격화속에서 기존 도시계획을 반성하고, 지방자치 본연의 정신에 맞게 주민들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삶터의 계획과 개선, 정비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주민참여형 마을 단위 도시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방향을 모색한다.
제3강_2005_0705_화요일_건축과 조경의 비판적 지역주의이론과 공공미술_도경화(조경계획가) ● 비판적 지역주의는 하나의 양식이나 분류라기보다는 표현의 대상이 되는 지역적 주제를 어떻게 드러내고, 왜 그러해야 하는가에 대한 철학이자 방법론이다. 건축과 조경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론적 방법을 통해 공공미술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 4부_공공미술 Planning 워크샵
일시_2005_0711 ▶ 2005_0831_인사 미술 공간 4층 ● 공공미술 플랜을 위한 장소를 설정하고 그 사이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공식, 비공식적으로 프로포절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위하여 이미 지역이나 특정한 사이트, 공동체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갖고 있던 작가와 아카데미를 함께 해온 청강생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지역 조사, 사이트 특성 연구, 인근 주민 및 환경 연구를 거치면서 구체적인 안을 만들고 이를 구청이나 지자체, 주민단체에 제안해 보기도 합니다. 최종적으로 이 워크샵을 통해 제안된 '안'들은 묶여져 하나의 책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Vol.20050604c | 2005 미술인회의 공공미술 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