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참여작가 강운구_구본창_김기찬_김녕만_김대수_김민숙 김수강_김수남_김아타_김영수_김영일_김옥선 김중만_김한용_민병헌_박영숙_방병상_배동준 배병우_성남훈_신건이_양성철_오상조_오형근 육명심_윤정미_이갑철_이상현_이정진_이창남 이해문_임응식_정범태_정연두_정인숙_주명덕 최광호_최민식_한정식_홍순태_황규태 등 106명
주최 / 국립현대미술관 후원 / 캐논_(사)현대미술관회
관람료 / 성인 3,000원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주말_10:00am∼09:00pm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막계동 산58-4번지) 제1,2 전시실,중앙홀 Tel. +82.(0)2.2188.6000 www.mmca.go.kr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윤수)은 오는 8월 15일, '한국현대사진 60년'을 조망하고 미래의 지평을 제시하는 기획전시『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을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원로 사진 전문가들이 함께 전시 개념, 작가 선정에서 전시 구성까지 참여한 본 전시에는 한국현대사진의 각 시대를 대표하는 사진작가 106명의 작품 380여점이 전시된다.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진행되며, 관람료는 성인 3,000원이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최승훈 학예연구실장은 "사진이 현대 예술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데 반해 한국 현대사진을 조명하는 본격적인 전시는 드물었으며 체계적인 정리도 부족했다"며, "금번 전시는 사진 역사를 정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사진예술계의 분출하는 창작력과 다양한 시각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비중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 본 전시는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초기의 한국현대사진을 조망하는'한국현대사진 1948 - 1960', 한국현대사진의 위상을 정립하는'한국현대사진 1970-1980', 다양한 실험과 창작활동으로 사진의 영역을 확장한'한국현대사진 1990-2000'으로 나뉘며, 각 시대를 대표하는 사진가들의 작품이 선보인다. 특히 2002년과 2008년에 개최된 원로 사진가 이명동, 이형록, 정범태, 김한용의 대담을 통해 초기 한국 현대사진의 정황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대담은 영상물로 제작되어 전시 기간 중 상영된다.
각 시대별 주요 내용과 작가들을 살펴보면, '한국현대사진 1948-1960'(제2전시실) 에서는 6.25 전쟁과 민족 분단, 전후의 극심한 빈곤 등 고난과 극복의 시기에 한국사진계를 휩쓴 '생활주의 리얼리즘' 사진을 만날 수 있다. 전쟁을 통해 비극을 목격한 사진가들은 탐미주의에서 벗어나 리얼리즘이라는 물결을 만들어냈다. 당시 활동했던 주요 작가와 단체로는 임응식과 신선회(이해문, 한영수, 안종칠, 정범태 등)가 있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 개발독재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사진가들은 공모전 위주의 제도적 장치 속에서 획일화, 정형화 되어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본 시기에는 이해문, 정범태, 임응식, 신건이, 주명덕, 최민식 등의 작품 80여점이 선보인다. ●'한국현대사진 1970-1980'(제2전시실)에서는 강운구, 배동준, 한정식, 홍순태, 김기찬, 김영수, 양성철, 오상조, 육명심 등의 작품 120여점이 선보인다. 1970년대 사진가들은 개인의 시각을 드러낸 새로운 형태의 작가주의를 완성시킨다. 당시 한국사회의 급속한 산업화는 전통의 몰락과 가족의 붕괴, 개인의 소외 같은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주명덕과 강운구는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생긴 갈등과 단절에 주목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식 실험을 통해 이전 사진의 정형성을 극복하려는 작가들이 나타났는데, 육명심, 홍순태, 한정식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1980년대는 김영수, 신복진, 전민조 등이 부조리한 권력에 대한 저항을 사진으로 표현했다. 하지만 1980년대 중후반으로 들어서면 작가들은 사진 자체의 한계를 뛰어넘어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표현방식을 보여준다. 구본창, 배병우, 김대수, 김장섭 등의 사진은 이전 세대의 사진가들에겐 현대미술의 한 경향으로 간주되었고,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더욱 확산되면서 사진과 현대예술의 경계를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 '한국현대사진 1990-2000'에서는 구본창, 김대수, 김중만, 민병헌, 배병우, 오형근, 이갑철, 이정진, 정인숙, 최광호, 김수강, 김아타, 김옥선, 방병상, 정연두 등의 작품 170여점이 선보인다. 1990년대는 젊은 작가들의 다양한 실험과 창작활동으로 사진의 영역이 확장된다. 1990년대 사진 환경의 변화는 유학 또는 전문 사진교육을 받은 젊은 사진가들에 의해 주도된 경향이 뚜렷하다. 구본창, 김대수, 민병헌, 배병우, 오형근, 이정진, 이갑철, 정주하 등은 여러 매체를 혼합하고 기존의 사진 개념을 파괴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실험을 주도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디지털이라는 혁명이 사진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획기적으로 확장시켰다. 한국 사진계에서는 대규모 사진전과 각종 수상제도, 전시공간의 다양화 등에 힘입어 국내외적으로 두드러진 활동을 보여준 작가들이 눈에 띄었다. 김아타, 김상길, 정연두, 윤정미 등은 2000년대에 개별화된 생존 전략의 예를 보여 주는 작가들이다. ● 전시 운영위원을 이끈 김영수(사진가, 민족사진가협회장)는 "한국 현대사진사 60년의 역사 속에서 왕성하게 활동한 작가들의 작품 뿐 아니라 잊혀진 작가들을 재 발굴하여 소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며, "사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전시는 한국 사진의 위상을 높이고 사진계가 한 걸음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외부 운영위원은 김영수(작가, 민족사진가협회장), 양성철(대구산업정보대학 디지털 사진영상과 교수), 오상조(광주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교수), 정범태(작가), 최 민(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박영택(경기대학교 교수)으로 구성되었다. 그 외 다수 사진계 원로들이 전시에 대한 자문을 주었다. ● 한편, 전시 기간 중에는 '한국현대사진을 묻다'라는 주제의 강연회가 마련되어 있다. 박주석, 박평종, 박영택, 신수진이 진행하는 강연회를 통해 관람객들은 각 시대별 사진의 발전상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름 휴가철인 8월 15일, 22일, 29일에는 가족 단위가 참여하여 작가가 찍어준 사진으로 가족 앨범을 만들어보는 '포토프린터로 가족앨범 만들기' 행사가 열린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www.moca.go.kr 혹은 02)2188-6114를 통해 얻을 수 있다. ■ 국립현대미술관
■ 부대행사
1. '한국현대사진을 묻다' 강연회 1 ○ 일시 및 장소: 8월 29일(금) 오후 3시~5시, 국립현대미술관 소강당 ○ 주제: 한국현대사진 1950-1960 박주석 (명지대교수) 한국현대사진 1970-1980 박평종 (미학, 사진비평)
2. '한국현대사진을 묻다' 강연회 2 ○ 일시 및 장소: 9월 26일(금) 오후 3시~5시, 국립현대미술관 소강당 ○ 주제: 한국현대사진 1990-2000 박영택 (경기대교수) 한국현대사진 1990-2000 신수진 (사진심리학)
3. 포토프린터로 가족앨범 만들기 ○ 일시: 8월 15일(금), 22일(금), 29일(금) 오후 2시 ~ 5시 ○ 내용: 사진작가가 찍어준 사진을 출력하여 가족 앨범을 만드는 행사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중앙홀, 야외조각장 ○ 대상: 1회 15가족(50명 내외), 참가비 무료(전시관람료 별도) ○ 신청방법: 선착순 이메일 접수 (sdh44@moca.go.kr)
4.'우리시대 가족의 초상' 공모전 ○ 참가기간: 8월 15일(금) ~ 9월5일(금)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웹진(http://artmu.moca.go.kr) ○ 부상: DSLR카메라(Canon Eos 450D), 가족사진촬영권(蘭스튜디오), 문화상품권 및 한국현대사진전 도록 등
Vol.20080815b | 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