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

진달래 & 박우혁展 / JINDALLAE & PARKWOOHYUK / installation   2016_0608 ▶ 2016_0707 / 월요일 휴관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50510d | 진달래 & 박우혁展으로 갑니다.

진달래 & 박우혁 홈페이지_www.jinandpark.com

초대일시 / 2016_0608_수요일_05:00pm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관람시간 / 11:00am~07:00pm / 일요일_12:00pm~06:00pm / 월요일 휴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PROJECT SPACE SARUBIA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4(창성동 158-2번지) B1 Tel. +82.2.733.0440 sarubia.org www.facebook.com/sarubiadabang twitter.com/sarubiadabang

진달래 & 박우혁은 디자인과 순수미술의 영역을 넘나들며 현실사회의 규범과 질서, 약속과 기준에 대한 의문을 주제로 꾸준히 활동해온 시각예술그룹이다. 진달래와 박우혁은 공통된 주제의식 안에서도 서로 다른 경험의 폭과 사고방식, 나름의 체계와 표현방식을 토대로 서로 간의 합의점을 찾아 하나의 결과물을 도출해왔다. 이들의 작업은 시각예술의 범주에서 보자면 타이포그래피와 설치미술의 형식을 두루 갖추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개개의 작업이 내포한 공간의 개념 혹은 공간에 반응하는 형식을 통해 우리가 속한 사회의 질서와 규범, 규칙을 인식하는 시지각적 방법들을 탐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맞닿아있다.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구체적인 예』는 진달래 & 박우혁이 그동안 창작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마주했던 정의내릴 수 없는 대상들, 이를 테면 검은 구와 격자무늬, 돌 혹은 얼룩과 같은 정형 혹은 비정형의 형태들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출발한다. 2013년작 「Across the Universe」가 그 형태를 인식하기 시작한 시점에 위치한다면, 이미지의 가변성과 유동성을 보여줬던 2015년 개인전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은 그러한 형태들에 내재한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자리였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2015년에 발표한 작업 「알맞은 A」에서 이러한 형태가 물리적인 공간에 반응하는 방식을 텍스트 안에 내재한 사회 안의 약속, 규범과 병치시켜 은유적으로 드러냈다면, 그 연장선상에 있는 『구체적인 예』는 공간 안에 놓인 예측 불가능한 대상 혹은 상태가 우리의 삶 속에 편재하고 있는 시지각적 약속들에 의해 어떻게 하나의 구체적인 의미를 획득하고 규정되는지에 주목한 결과다.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면밀히 보면 어느 하나 정확한 면과 선으로 규정할 수 없는 생김을 지닌 사루비아의 공간은 전시장 중앙에 위치한 백색의 면 혹은 굵게 그어진 검은 선에 의해 '벽' 혹은 '문'으로 인식되기 시작하고, 그 기능을 부여받아 안과 밖,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된다. 전시장 한 쪽에 나 있는 무명의 작은 공간은 둥근 덩어리 형상이 새겨진 직사각형 현판으로 인해 나머지 공간과 분리되면서 일종의 의미와 기능을 지닌 정체모를 공간으로 규정된다. 또한 표면의 굴곡과 무늬의 흐름을 예측할 수 없는 비정형의 자연석은 사회적 의미와 규칙을 지닌 패턴을 입고 선반 위에 놓이면서 특별한 의미와 지위를 부여받는다. 각각의 대상(공간과 사물)은 관객이 직접 경험하거나 지각할 수 있는 일정한 형태 혹은 상황으로 제시되면서 일종의 '구체적인 예(a concrete case)'가 되어 전시장 곳곳에 배치된다. 즉, 특정 대상을 정의하듯 그어진 각종 선들, 교련 무늬 등과 같이 사회적 약속을 동반한 이미지 패턴이 정체를 알 수 없는 대상에 덧씌워지면서 벌어지는 의미화의 과정, 그리고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적 사고에 대한 탐구가 구체적인 시지각의 형태와 상황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이다.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_혼합재료_가변설치_2016
진달래 & 박우혁_구체적인 예 A Concrete Case展_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_2016

단순해 보이지만 공간과 사물에 단단하고 묵직하게 결합해 있는 흑백의 이미지는 그것을 경험하는 개인이 사회 안에서 체득한 시지각적 경험의 깊이와 폭, 규칙과 기준의 적용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분명한 것은 그러한 해석의 과정이 좁게는 이미지가 대상에 부여한 역할과 기능 안에서, 넓게는 이 모든 인식의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질서와 규범 안에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공간 속에 던져진 『구체적인 예』는 현실의 규범과 규칙, 그리고 그로부터 학습된 자아와 희미하게 때론 강렬하게 마주하도록 이끈다. ■ 황정인

Vol.20160613b | 진달래 & 박우혁展 / JINDALLAE & PARKWOOHYUK / installation

@ 통의동 보안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