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작가상 2016 Korea Artist Prize 2016

김을_백승우_함경아_믹스라이스(양철모_조지은)展   2016_0831 ▶ 2017_0115 / 월요일,1월1일 휴관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올해의 작가상 홈페이지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주최 / 국립현대미술관_SBS문화재단 후원 / SBS문화재단

관람료 / 4,000원 / 야간개장(06:00pm~09:00pm) 무료관람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수,토요일_10:00am~09:00pm / 월요일,1월1일 휴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1,2 전시실 Tel. +82.2.3701.9500 www.mmca.go.kr

『올해의 작가상』展은 국립현대미술관의 대표적인 정례 전시로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개최되었던 『올해의 작가』展을 모태로 하고 있다. 2012년부터 SBS 문화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독창성을 보여줄 역량 있는 작가들을 후원하는 수상 제도로 변경,운영하고 있다.올해로 5회를 맞은 『올해의 작가상』展은 매년 관객들과 미술계의 관심과 주목을 이끌어내며 명실 공히 대한민국의 대표 수상 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후보작가_김을 Kim Eull
후보작가_백승우 Back Seung Woo
후보작가_함경아 Kyung-Ah Ham
후보작가_믹스라이스 mixrice(조지은+양철모)

'올해의 작가상' 운영위원회는 후보작가 선정을 위해 미술계 전문가로 구성된 작가추천위원과 심사위원을 위촉하였으며,각각의 추천위원들은 다양한 경향의 작가 8인을 추천하였다.심사위원회에서는 8명의 추천작가에 대한 포트폴리오 심사 및 스튜디오 현장 면접 등을 통해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4명(3명,1팀)의 작가를 선정하였다.선정된 김을,백승우,함경아,믹스라이스(조지은,양철모)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1,2전시실에서 새롭게 준비한 신작을 선보이게 된다. 오는 10월에는 각 작가에 대한 심사위원단의 2차 심사가 개최되며,이를 통해 '2016 올해의 작가상' 최종 수상자 1인이 선정, 발표될 예정이다.

김을 Kim Eull_Discovery_혼합재료_221×122×46cm_2010
김을 Kim Eull_Beyond the painting_혼합재료_187×231×15cm_2013
김을_무제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68×57×5cm_2015
김을_무제_혼합재료_57×100×19cm_2013

김을 작가는 제1전시실 공간에 실제 크기의 2층 건물을 건축했다.관객의 출입이 가능한 이 건물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치열하게 창작 활동에 몰두하는 예술가의 작업실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다.

백승우_RS-#005_디지털 프린트_120×218cm_2012
백승우_Utopia-#032_디지털 프린트_220×527cm_2011
백승우_RW01-001_디지털 프린트_127×169cm_2004
함경아_What you see is the unseen Chandeliers for Five Cities_ North Korean Hand Embroidery, metal, wooden frame, middleman, anxiety, censorship_2015
함경아_Odessa Stairs_300×500×800cm, 갤러리 루프에 설치_2008
함경아_Switched Stolen Object, Document_C 프린트_2003~9

제2전시실에 설치된 백승우의 작품들은 사진 매체의 형식적 한계와 경직된 해석의 틀을 깨뜨리는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 ● 제2전시실에 배치된 함경아와 믹스라이스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스템의 다양한 차이 속에서 생존을 위해 벌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이주(移住) 현상을 주목한다. 북한 자수(刺繡) 공예가의 손을 통해 제작된 자수 작품으로 알려진 함경아는 탈북과 정착을 주제로 제작한 작업을 선보인다.

마석동네페스티벌_불탄공장_2013
믹스라이스_어떤 식으로든 진화하는 식물 프로젝트_드로잉_2013
믹스라이스_수몰될 보호수-공익사업을 위한 수목_자연석이 위치한 곳, 내성천 주변_2013

한국사회의 숨겨진 존재인 이주노동자들과의 다양한 협업을 지속해온 믹스라이스는 취업과 학업 혹은 재산 증식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정착'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이주'하는 한국 사회의 현상에 주목하며,재개발 지역에서 파온 흙을 이용한 작업을 선보인다. ■ 국립현대미술관

Vol.20160831e | 올해의 작가상 2016展

Gwangju Bienn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