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01103b | 김희자展으로 갑니다.
초대일시 / 2021_0327_토요일_04:00pm
영은미술관 영은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展
주최,주관 / 영은미술관 후원 / 경기도_경기도 광주시
코로나 19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전시를 진행합니다. 예약 및 문의 / 영은미술관 학예팀 Tel. +82.(0)31.761.0137
관람시간 / 목~일요일_10:00am~05:30pm / 월,화요일 휴관
영은미술관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경기도 광주시 청석로 300(쌍령동 8-1번지) 4전시실 Tel. +82.(0)31.761.0137 www.youngeunmuseum.org
영은미술관은 영은 아티스트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되는 영은창작스튜디오 11기 김희자 작가의 '서사시 Epics_written by tree'展을 오는 3월 20일부터 4월 11일까지 개최한다. ● 김희자 작가는 1997년 초청작가로 미국으로 이주, 2020년 한국의 영은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하기 전까지 25여 년 아름다운 자연으로 유명한 미국의 롱아일랜드에서 생활했다. 작가 자신을 둘러싼 환경은 너무 아름다웠지만, 역설적이게도 이 공간에서 작가는 지독한 외로움과 고립감에 시달렸다. 항상 즐겨 산책하던 숲에 있던 나무들, 집 앞으로 조금만 나서면 볼 수 있던 고요한 바다, 자연, 그리고 그 속에서 언제나 자리하고 있는 나무에게서 많은 위안을 받았고, 작업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김희자 작가의 완성된 작품은 각각의 나무가 가진 특유의 결을 그대로 보여주며 그 물결 위에 절묘하게 어울리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작가는 그 이야기의 전달에 도움이 되도록, 평면 위에 자르고 붙이며 나무로 구조물을 만든다. 수십 수백 장의 수많은 나무의 결을 읽어내며 작가는 스스로의 내면을 작품에 쏟아 낸다.
김희자 작가는 루이스 브루주아, 조지아 오키프 작품의 평론으로 유명한 미술평론가 도널드 커스핏(Donald Kuspit)과의 교류를 통해 한국인이자 서양화가라는 서양미학의 틀 안의 모순된 정체성을 발견하고 확립할 수 있었다. 김희자 작가는 작업하는 이의 내면의 심리와 그것이 작품에 녹아드는 예술의 본질, 이 모든 과정에 대한 작가의 진심을 강조하는 그의 평론에 깊이 공감했고, 이해받을 수 있었다. 전시장의 김희자 작가의 작품에는 작가의 인생이 그대로 녹아들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완벽한 평화를 지닌 아름다운 대자연에서의 외로웠던 오랜 세월은, 고요하고 명상적이며 아름답고 쓸쓸한 분위기의 작품으로 태어나 전시장에서 관람객들과 공감한다. 또한 동양인, 여성이라는 작가의 정체성과 이를 담기 위한 독창적인 표현 방식을 볼 수 있다. 김희자 작가는 유행하는 현대미술의 조류에 편승하지 않고 스스로의 내면에서 나오는 무언가를 작품 속에 녹여내는 작가의 진심에 대해서 고민하고 오로지 그림 그리는 시간을 원했다는 이야기로 예술에 대한 진심을 이야기한다.
작가는 고립되고 힘든 일상 속 산책길의 친구 같은 나무와 정서적으로 교감하며 식물에 대한 책을 읽고 공부하며, 숲속 나무들의 소근거리는 소리를 듣고 나무만이 가진 결을 통해 그 이야기를 이해하게 되었다. 신비롭고 감성적인 작가의 생각은 작품 속에 그대로 담겨서 나무가 깊숙이 간직한 이 이야기를 펼쳐서 보여주고 있다. 나무를 돌려 깎을 수 있는 기술의 발달 또한 이 비밀스러운 이야기가 세상에 드러나도록 도왔다. 사람의 지문이 하늘 아래 같은 것이 없이 유일무이한 것이듯, 나무의 결 또한 마찬가지이다. 나무의 신비로움과 생명력을 말해주는 단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김희자 작가의 작품에서 나무의 결만큼 중요한 또 하나의 조형 요소는 거울이다. 작가는 비춰주는 대상이 있어야 존재의 가치가 있는 거울의 반사 작용에서 인간의 욕망에 대한 성찰을 읽어냈다. 욕심, 욕망, 집착 등의 마음이 없다면 괴로움 역시 존재할 수 없다는 설명과 함께 작품 속 거울의 은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무언가를 비춰주고 그로 인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상호작용, 작품과의 소통을 의미하기도 하는 장치이다.
김희자 작가는 숲과 함께 존재하는 영은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해서 작업을 하며 국적을 회복하고 인생 3막이 시작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외롭고 힘들었던 미국생활이 고요하고 명상적인 나무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펼쳐 보여주는 작품으로 태어나 스스로의 심상(心象)을 온전히 담아낸 전시로 시작한 김희자 작가의 인생 3막 1장의 이야기에 공감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영은미술관
Vol.20210320b | 김희자展 / KIMWHEIZA / 金姬子 /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