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E GARDEN

이진준展 / LEEJINJOON / 李進俊 / video.installation   2022_0121 ▶ 2022_0131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_2022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10915k | 이진준展으로 갑니다.

이진준 홈페이지_www.jinjoonlee.com                        페이스북_www.facebook.com/jinjoon.lee       인스타그램_@jinjoonlee_official

초대일시 / 2022_0121_금요일_06:00pm

메타버스 프로젝트 Metaverse Project展

ASEAN Collaborators Kittima chareeprasit_Dito Yuwono_Vuth Lyno Load Na Dito_John Thung_chi too TRAN MINH ĐUC_Thitibodee Rungteerawattananon

기획 / 아르테바 후원 / 2021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 프로젝트 제작지원 by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관람시간 / 24시간 관람가능

메타버스 갤러리 테바 Metaverse Gallery TEBAH somniumspace.com/parcel/3187 aseanrokartproject.com

본 사업은 아르테바(대표 최유주)가 주최하는 첫 번째 미디어아트 전시 프로젝트로,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국제 예술교류의 활성화를 위해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미술展으로 운영된다. ● 경계공간 경험(liminoid Experiece)에 관한 작품 연구를 이어온 뉴미디어아티스트 이진준 작가(카이스트 문화기술 대학원 교수)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참여해 메타버스 공간의 전시 기획과 연출을 총괄하였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초현실적 풍경을 그리는 Nowhere in Somewhere series 신작 「gOd, mOther and sOldier 2022」 을 볼 수 있다. ● 그는 작품 제작과 더불어 작품이 전시되는 메타버스 갤러리 공간기획에 참여하며, 전시공간을 작품의 연장선상에 있는 또 하나의 작품으로 구현했다.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VR을 통해 체험 가능한 메타버스 전시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관람객이 현실세계에서 실제 전시를 관람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상세계에서만 느낄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을 제시한다. 메타버스 공간 기획 및 제작은 프랑스의 VR 연구자 Dr. Guillermo Valle와 메타버스 공간 건축을 담당한 영국의 메타버스 빌더 Paul Wilson이 함께 팀을 이루어 진행되었다

이진준_gOd, mOther and sOlider – Nowhere in Somewhere Series 2022_단채널 영상설치_00:06:00_2022

신작 「gOd, mOther and sOldier – Nowhere in Somewhere series 2022」는 아세안 도시 조각상들을 콜라주한 제3의 가상세계를 표현한 작품으로 미국의 AI 연구자 Dr. Andrew Gambardella가 참여했으며, 오브젝트 디텍션 세그먼테이션과 인페인팅, 소닉컴프레션 등의 AI 기술을 활용하여 작업하였다. 특히, 모뉴먼트(monument)의 상징성과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는 AI를 통해, 공공조각에 집단의 욕망이 어떻게 투사되어왔는지에 대한 독특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팬데믹 확산 이후 사회적∙심리적 고립감으로 피로함을 호소하는 일반 대중들에게 새로운 초현실적 풍경을 제시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 입구_2022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 1층_2022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 2층_2022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 2층_2022

본 프로젝트는 팬데믹으로 인해 해외 교류가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7개국(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큐레이터와 아티스트 8인이 비대면으로 참여하여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은 각 아세안 국가의 대표적인 공공조각 작품들의 영상촬영, 제작 및 기획을 함께 진행하며 물리적인 국경을 뛰어넘는 적극적인 문화교류와 협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ASEAN-ROK Statue Garden" 프로젝트 연계사업으로 진행되는 메타버스 미디어아트展 『Statue Garden』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1 한-아세안 문화혁신 공동 프로젝트 제작지원을 통해 한-아세안 문화교류 프로젝트로 운영되었다. ■ 최유주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_2022
STATUE GARDEN展_메타버스 갤러리 테바_2022

공공 조각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기념하려 하는가? 영국의 스톤헨지, 이집트의 오벨리스크, 모아이의 석상, 그리고 한국 제주도의 돌하루방은 오래된 인간의 역사와 욕망을 반영한다. 아세안 국가의 모뉴멘트들은 집단의 기억을 공공 장소에 세워 식민주의와 함께 복잡한 근대화의 과정을 겪은 동남아시아 역사를 한 눈에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무엇인가를 기념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각종 신과 어머니 그리고 영웅들의 모습으로 높은 좌대에 올려져 있는 것이다. 하지만 AI는 그 우상화된 존재의 상징성을 단순히 '개'로 인식하기도 한다. 우리가 기억하려는 것은 과연 승리인가 아니면 상처인가? 그 손가락이 가리키는 곳엔 무엇이 있을까? ■ 이진준

This project is the first media art exhibition project organized by ARTEBAH, and it will be held in the metaverse as an online art exhibition to revitalize international art exchang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COVID-19. ● New media artist, Dr. Jinjoon Lee (Professor at KAIST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who has continued his research and work on 'liminoid experience,' designed and directed the entire metaverse exhibition as a creative director. In the exhibition, he also presents his new video installation work entitled 「gOd, mOther and sOldier – Nowhere in Somewhere series 2022」 that expresses the third virtual world. ● Dr Lee demonstrates 'Total Experience' within the metaverse exhibition space which he regards as an extension of the new video artwork as well as an artwork itself. By making the exhibition accessible through the and VR, visitors can experience the exhibition as if they were looking around in the real world, while encountering a unique spatial experience that can only be held in the virtual world. French VR researcher Dr. Guillermo Valle participated in metaverse space planning, and British metaverse builder Paul Wilson was in charge of designing and building the metaverse gallery. ● The new video installation work 「gOd, mOther and sOldier – Nowhere in Somewhere series 2022」 is a collage video of public sculptures and monuments in ASEAN country, expressing the third virtual world. AI technology such as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 inpainting and sonic-compression was used to create the third urban landscape in collaboration with American AI researcher Andrew Gambardella. Especially, AI which doesn't recogniz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onument allows us to think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questioning how the human history and desires are reflected in public sculptures. ● Communicating online, eight curators and artists from seven ASEAN countries (Thailand, Vietnam, Malaysia, Singapore, Cambodia,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participated in planning and producing the videos of the public sculptures representing each ASEAN country.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active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across the physical borders. ● The Metaverse Media Art "Statue Garden" was organized as an extension of the "ASEAN-ROK Statue Garden" project supported by an ASEAN-ROK Joint Culture Innovation Project Grant by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 Yoojoo Choi

What are we trying to commemorate through public sculptures? Stonehenge, the obelisks, the stone statues of Moai, the Dolharubang of Jeju Island in Korea symbolically reflect the human history and desires. Likewise, the monuments in ASEAN countr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on collective memories in public places show at a glance the history of Southeast Asia that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rough colonialism. Human's ambitious desire to remember something like this is placed on a high plinth in the form of various gods, mothers, and heroes. But AI tends to recognize these idolized figures just as a 'dog'. What we want to remember is the triumph or the trauma? What is the finger pointing at? ■ Jinjoon Lee

Vol.20220124b | 이진준展 / LEEJINJOON / 李進俊 / video.installation

@ 통의동 보안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