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 무한의 자유 Abstraction, Infinite Freedom

장성순展 / CHANGSUNGSOUN / 張成筍 / painting   2022_0630 ▶ 2022_0807 / 월요일 휴관

장성순_추상 086(회화 A18)_캔버스에 유채_ 130×97cm_1987_김홍도미술관 소장(5회 개인전 출품작)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71212g | 장성순展으로 갑니다.

장성순 홈페이지_www.서양화가장성순.com 인스타그램_@artist_sungsoun   

추모 연구회 / 2022_0729_금요일_02:00pm

故장성순 1주기 추모展

주최 / (재)안산문화재단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입장마감_05:00pm / 월요일 휴관

김홍도미술관 Kimhongdo Art Museum 경기도 안산시 충장로 422 1관 Tel. +82.(0)31.481.0505 Danwon.ansanart.com

50여 년 일관된 추상 양식과 독특한 미적 세계의 가치 ● 안산문화재단 김홍도미술관은 한국추상미술의 거장 故장성순 화백의 1주기 추모전시를 개최한다. 장성순 화백은 1990년 안산에 정착하여 지역 미술계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의 원로로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오다 2021년 7월 29일 향년 94세의 나이로 작고하였다. 그는 1927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나 해방 이후 1960년대 전후 한국추상미술의 탄생과 전개에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한국추상미술의 흐름을 주도했던 장성순 화백은 어릴 적 앓았던 중병으로 한쪽의 청력을 잃었지만, 그가 이루어낸 추상의 독특한 표현과 미학적 성취는 앞으로 연구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장성순_추상 088_캔버스에 유채_80×65cm_2011_김홍도미술관 소장
장성순_추상 154_캔버스에 유채_100×80cm_2009_김홍도미술관 소장

한국추상미술의 시작, 1950~70년대 작품 전시 ● 『추상, 무한의 자유』라는 타이틀로 진행하는 1주기 추모전은 故장성순 화백이 작업 활동을 시작한 1950년대부터 2012년까지 각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 70여 점을 전시한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혼란스러웠던 시대를 반영한 1950년대 후반부터 미술표현 양식의 다채로운 시도가 있었던 1970년대 작품들을 함께 전시하여 50여 년간의 화업을 아우를 수 있도록 작품을 선별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故장성순 화백이 평생을 거쳐 이뤄 놓은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한자리에 모으고, 그의 작품이 갖는 미술사적 의미와 그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회로 삼고자 한다.

장성순_추상 252_캔버스에 유채_100×80cm_1984_김홍도미술관 소장
장성순_추상 297(추상 10-96)_캔버스에 유채_ 162.2×130cm_1996_김홍도미술관 소장(7회 개인전 출품작)

해방 이후 한국추상미술의 탄생과 전개에서 중심 역할 ● 故장성순 화백은 한국 현대미술의 출발을 알리는 1957년 '현대미술가협회'의 창립멤버이자, 전위그룹인 '악뛰엘'의 창립회원으로 참여, 1961년 파리비엔날레 출품 등 한국 현대미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국추상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그와 그의 작품이 평가 절하되어 있다는 점에 재조명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안산시에 작품을 기증하고 진행된 일련의 전시들을 통해 미술사가와 대중에게 작품세계가 공개되며, 작품에 대한 관찰과 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홍도미술관은 전시 기간 중 故장성순 화백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만나볼 수 있도록 7월 29일 장성순 화백의 추모 연구 세미나를 연다. 이 세미나는 미술관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앞으로 진행하게 될 연구사업과 전시를 위한 기조 세미나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다.

장성순_추상 361_캔버스에 유채_145×112cm_1976_김홍도미술관 소장
장성순_추상 415_캔버스에 유채_73×60cm_1957_개인소장
장성순_추상 447_캔버스에 유채_73×60cm_1957_개인소장

故장성순 화백의 소장작품을 시작으로 지역작가와 작품 연구 진행 ● 지난 2017년 故장성순 화백이 안산시에 기증한 207점과 더불어 2018년 故성백주 화백이 기증한 100점의 작품이 안산시에서 김홍도미술관의 소장품으로 이전 등록되었다. 김홍도미술관은 이 기증 작품을 중심으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한 성과를 전시로 공개할 계획이다. 이 전시를 시작으로 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지역 작가와 작품연구, 나아가 지역 미술사 아카이브를 진행하며 지역 작가 연구와 기획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하고자 한다. ■ 김지안

추모 연구회 - 일시: 2022. 7. 29.(금) 오후 2시 - 장소: 김홍도미술관 - 내용: 김홍도미술관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향후 진행하게 될   연구사업과 전시를 위한 기조 세미나 형태로 진행 - 참석인원: 조광석(미술평론가), 하계훈(미술평론가), 장지영(장성순미술연구소 대표)

Vol.20220630i | 장성순展 / CHANGSUNGSOUN / 張成筍 / painting

@ 우민아트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