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주최 / fAKE mUSEUM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_한국문화예술위원회_온라인미디어예술활동
관람시간 / 24시간 관람가능
fAKE mUSEUM www.fakemuseum.kr
실제로 방문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본 듯 생생하게 기억에 남는 전시가 있다. 누군가의 렌즈가 캡처한 전시-이미지가 SNS를 유영하고, 이것이 어느샌가 나의 기억으로 전환되는 경우다. 이 기억은 시간이 흐르며 촘촘하고 또렷해진다. 전시가 종료된 후에도 이미지는 살아남고 유통되므로. 진짜 전시의 곁에서 자기복제와 변형을 거듭하며 또 다른 전시를 만들어내고 확장하는 전시-이미지는 주변화되기보다는, 오히려 이미지로 화한 전시(장)으로서 존재를 이어 나간다.
「fAKE mUSEUM」은 가상의 전시장과 전시를 둘러싼 이미지에 관한 프로젝트다.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때로는 작품이나 전시의 실물보다 거대한 전시-이미지를 다룬다. 전시를 여닫으며 생성되고 전시-이미지, 그리고 SNS 등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소비·유통되는 이미지들을 간접 전달되는 부차적인 것으로만 인식할 것인가. 작품과 전시에 더 이상 복속되지 않는 전시-이미지의 정체성과 의미, 그리고 '전시'와의 관계를 묻기 위해 「fAKE mUSEUM」은 이용객이 내·외부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가상의 전시장 'fAKE mUSEUM'을 신축하고, 이를 공개하는 개관전 『FRAMEWORK』를 개최한다.
『FRAMEWORK』의 작품들은 전시 종료 후에도 생명을 지속하는 이미지를 은유한다. 조심스레 탈거된 작품이 빠져나간 빈 전시(장)의 잔재들. 지지대, 좌대, 연결선, 철물 등은 종종 작품에 일부로 인정되어 캡션에 포함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들이 작품 안에 복속될지라도, 전시를 떠난 후에 작품과의 관계를 단언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영상이 프로젝션 되지 않는 스크린은 여전히 작품의 일부인가? 반대로, 스크린의 크기는 영상 작품의 꽤 중대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부속물로만 구성된 전시 『FRAMEWORK』는 전시(장)에서 우리가 주목해왔던 것들의 앞뒤에, 배경과 주변에 무엇이 있(어왔)는지 환기한다.
오늘날 우리의 삶과 예술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가상의 것들을 정말로 뜻 그대로 사실이라 할 수 있을지, 혹은 실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은 철 지난 생각이다. 이미 「fAKE mUSEUM」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소이다. 이용객은 웹사이트로 보는 전시(장)을 핸드폰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듯 스크린을 캡처해 이미지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다. 「fAKE mUSEUM」은 여느 전시(장)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흐릿한 경계와 직접적인 영향 속에서 이미지와 함께 움직이며 파생해나갈 것이다. ■ fAKE mUSEUM
Some exhibitions, even though we have not actually visited them, remain in memory as vividly as if we had been there. These are cases where the exhibition images captured by someone's lens drift arou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without our awareness—eventually become part of our memories. As time passes, these memories become clearer and more dense, because after the exhibition is over, the images continue to survive and circulate. Repeatedly self-duplicating and transforming alongside the real exhibitions, these images are not marginalized, but rather continue to exist as an exhibition (space) converted into images. ● fAKE mUSEUM is a project about images surrounding a virtual exhibition and its space. It deals with exhibition images that are circulated through online media and are sometimes even larger in scale than actual works or exhibitions. Should we perceive the exhibition images creat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exhibitions, and those consumed and circulated through online media such as SNS, merely as indirectly communicated, secondary information? In order to question the identity and significance of exhibition images, which are no longer dependent on works and exhibi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xhibition," fAKE mUSEUM will establish a virtual exhibition space called "fAKE mUSEUM," which can be newly created, modified or deleted by users. The project will be opened to the public in an evet titled FRAMEWORK. ● The works in FRAMEWORK are metaphors of images that live on after exhibitions have ended. Remains in the empty exhibition space after artworks have carefully been removed, supports, pedestals, connecting cables and metal components are often acknowledged as part of the work, and even included in the captions. But even if these were part of the work, it is hard to say for sure what their relationship is to it, after the work has left the exhibition. For example, is a screen that no longer has a video projected upon it still part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could we not say that the size of the screen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video work? Thus the exhibition FRAMEWORK, consisting only of appendages, evokes what exists (has existed) in front of, behind, in the background and around the things we have focused on in the exhibition (space). ● It is too late to agonize over whether we can literally call the countless virtual things that influence our lives and art today real, or say that they do not actually exist. fAKE mUSEUM is already a place that generates images. Users can store and share images of the exhibition (space) by capturing the screen of the web site, similar to how one presses the camera shutter on a mobile phone. Like any exhibition (space), fAKE mUSEUM will move and diversify amidst its images, traversing the obscur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two realms. ■ fAKE mUSEUM
Vol.20221110e | FRAMEWORK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