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Dialogue

유근택展 / YOOGEUNTAEK / 柳根澤 / painting.installation   2022_1108 ▶ 2023_0115 / 월요일 휴관

유근택_어떤 풍경 Some Landscape_한지에 수묵채색_184×206cm_2022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210224b | 유근택展으로 갑니다.

유근택 홈페이지_www.geuntaek.com  인스타그램_@yoogeuntaek

작가와의 대화 / 2022_1125_금요일_02:00pm

제22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展

관람료 / 성인 1,000원 / 청소년 700원 기타 자세한 사항은 ▶ 홈페이지 참고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월요일 휴관

대구미술관 DAEGU ART MUSEUM 대구시 수성구 미술관로 40 (삼덕동 374번지) 2,3전시실, 선큰가든 Tel. +82.(0)53.803.7900 artmuseum.daegu.go.kr

대구미술관은 제22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유근택의 전시를 개최한다. 한국근대미술사에 큰 업적을 남긴 서양화가 이인성 화백을 기리는 이인성미술상은 대구시에서 2000년에 제정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제22회 수상자는 유근택(1965~)으로 동양화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현하여 자연과 인간, 환경, 사회 등을 주제로 실험적인 재료와 화면을 선보이고 있다.

유근택_어떤 도서관_한지에 수묵채색_200×212cm_2022
유근택_자라는 실내 Growing Room_한지에 수묵채색_240×200cm_2008
유근택_길, 혹은 연기 A Passage or a Wisp of Smoke_한지에 수묵채색_147×187cm_1999
유근택_분수 Fountain_한지에 수묵채색_290×202cm_2022
유근택_또다른 오늘 Another Today_한지에 수묵채색_35×69cm×153_2021~2

동양화를 전공한 유근택은 충남 아산 출신으로 1991년 개인전부터 두각을 드러내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까지도 동양화를 기반으로 동시대의 현상과 일상을 재해석하여 자신만의 회화로 그려내고 있다. 초기작에서 민족의 뿌리와 정신 그리고 역사적인 시각을 화면에 담아왔다면 점차 작가의 시선은 일상으로 옮겨져 "지금, 여기"의 존재와 시간을 일상의 관찰과 사유를 통해 예술로 탈바꿈한다. 동시에 사회문화적 층위를 녹여내고, 다채로운 상상력과 작가만의 감성으로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대를 형성한다.

이번 전시는 시대별 대표 작품 및 이인성상 수상을 계기로 새로 제작한 신작으로 전시를 구성하여 시간에 따른 작품의 변화를 보여준다. '존재의 시간과 소멸에 대한 서사적 질문'이라는 주제를 일관되게 다뤄온 유근택의 예술세계를 대중에게 새롭게 각인시키는 전시가 될 것이다. 대표작품은 할머니의 인생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40m의 대작 「유적-토카타(질주)」와 일상을 회화적 장면으로 변모시킨 「창밖을 나선 풍경」, 전염병과 혼란스러운 세계정세 속의 불안을 담은 「어떤 풍경」, 신작 「분수」 시리즈 등이다. ■ 대구미술관

Vol.20221113j | 유근택展 / YOOGEUNTAEK / 柳根澤 / painting.installation

@ 통의동 보안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