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김연화 인스타그램으로 갑니다.
작가와의 대화 / 2023_0401_토요일_05:00pm
관람시간 / 09:30am~06:00pm / 일요일 휴관
무늬와 공간 갤러리 MOONiiSPACE Gallery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302 인앤인오피스빌딩 8층 Tel. +82.(0)2.588.2281 moonii.modoo.at
무늬와 공간은 2023년 3월 30일부터 4월 12일까지 김연화 작가의 개인전 『상상의 기억』展을 선보인다. 『상상의 기억』은 작가의 상상적 경험을 시각화한 사유의 이미지 20여 점으로 구성된다. 김연화는 사진의 리얼리티를 통해 상상과 기억이 형성한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작가다. 『상상의 기억』은 카메라 앞에 펼쳐진 현실의 사태를 담지만 무수하고 무모하게 반복된 시도와 실험을 통해 그로부터 초월된 작가의 아닐로공을 드러낸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원의 형상들은 보편적 의미를 띠기 보다 개인의 상상을 발화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김연화가 대상과 마주함으로써 얻어진 아날로공은 자신을 드러낸 채로 작품에 남지만 이제 그것의 대상이 되었던 풍경들은 과거로 사라진다. 작가는 나타남과 사라짐이 반복되는 여러 해를 그것들과 함께 했다고 말한다. ■ 무늬와 공간 갤러리
『상상의 기억』은 백사마을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얻어진 경험, 감정, 행동, 시도들을 마음에 담아 두었다가 다시 그것들을 꺼내 보기를 반복하여 거기 비추어진 나를 추적하며 얻어진 이미지들이다. 백사마을은 나의 어릴 적 기억 속 공간과 닮아 있는 장소다. 그래서 거기의 오래된 골목, 기와집, 쇠창살이 덧대어진 창문, 유리조각이 박힌 담장, 나지막한 담벼락의 낙서들은 그 어느 하나 지나치기 힘들도록 정겨운 흙냄새와 벚꽃 향기를 품고 있다. 그곳에 땅거미가 내려 술시가 되면 울퉁불퉁 보도블록이 얹어진 골목길 사이로 나에게 다가오시던 젊은 아버지의 모습이 있다. ■ 김연화
사진은 차가운 매체다. 렌즈의 냉혹한 시선은 카메라 앞에 펼쳐진 사태를 아무런 의견 없이 강광제로 보낸다. 그러므로 사진에 나타나는 굳건한 묘사는 광학과 기계장치가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래서 빛이 사진이 되는 일련의 과정에 실아 숨 쉬고 느끼는 작가가 개입하기는 어렵다. ● 사르트르는 상상이 만들어내는 비존재의 세계를 아날로공(analogon)개념으로 설명한다. 아날로공은 상상이 만들어낸 현실의 대체물로 언어적 논리로 정립되기 이전의 무질서한 자유를 선택함으로써 형성된다. 세계와 관계하는 개인은 자유롭게 선택하고 누리는 아날로공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김연화는 냉혹한 사진 매체를 통해 상상과 기억이 형성한 자신을 바라보는 작가다.『상상의 기억』은 카메라 앞에 펼쳐진 현실의 사태를 담고 있지만 무수하고 무모하게 반복되는 시도와 실험을 통해 현실로부터 초월된 김연화의 아날로공을 보여준다. 그의 사진에 등장하는 형상들은 보편적 의미를 띠기 보다 개인의 상상을 발화하는 용도로 쓰인다. ● 김연화가 다루는 붉은 원들은 이상한 나라로 가기 위한 앨리스의 토끼굴처럼 작동한다. 작가는 거기서 자신의 기억과 상상을 만난다고 말한다. 그 안에는 그의 의식 속에 자리한 과거와 기억 이외에도 사라짐과 상실에 대힌 그리움, 그리고 그것들이 빚는 노스탤지어가 있다. 그리고 사진에 자리한 그것들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한다.
사르트르는 상상적인 것의 존재가 개인의 주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바르트는 그의 저서 『밝은 방』의 서두에 '사르트르의 『상상적인 것』에 바침'이라는 문장을 적어 넣었다. 사진의 확고한 재현에의 진술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려는 김연화의 노력은 우리들로 하여금 얇은 종이 거울로 작동하는 사진의 가능성과 자신을 성취하려는 인간의 본성을 엿보게 한다. ■ 백한승
Photography is a cold medium. The ruthless gaze of the lens transmits the situation in front of the camera to the photosensitizer without any preconceived notions. Therefore, the grim depiction that appears in the photograph must be seen as a product of optics and mechanical device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n artist to intervene in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light becomes a photograph, breathing and feeling it. ● Sartre explains the world of non-existence created by imagination with the concept of analogon. Analogon is a substitute for reality created by imagination, and is formed by choosing disorderly freedom before being established with linguistic logic. Individuals who relate to the world establish their personal identities through the analogons they freely choose and enjoy. ● Yeanhwa KIM is an artist who looks at herself formed by imagination and memory through the harsh medium of photography. Imaginary Memory shows the analogon of Yeanhwa KIM, which transcends reality through countless and reckless repeated attempts and experiments, although it contains real events unfolding in front of the camera. The figures appearing in her photographs are used to ignite individual imagination rather than having a universal meaning. ● The red circles Yeanhwa KIM deals with work like Alice's rabbit hole to go to Wonderland. The artist says that she meets her memory and imagination there. In it, in addition to the past and memories in her consciousness, there is a longing for disappearances and loss, and the nostalgia they create. And she confirms her existence by looking at them in her works. ● Sartre saw the existence of the imaginary a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subjectivity. And at the beginning of his book Camera Lucida, Barthes wrote the sentence 'In homage to L' Imaginaire by Jean-Paul Sartre.' Yeanhwa KIM's efforts to look inside herself through her statements about the solid representation of her photography allow us to glimpse the possibility of photography that operates as a thin paper mirror and the human nature to achieve oneself. ■ Hanseung BAIK
Vol.20230330a | 김연화展 / KIMYEANHWA / 金燕和 / pho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