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210930f | 이원경展으로 갑니다.
이원경 홈페이지_leewonkyoung.modoo.at 인스타그램_@leewonkyoung_2020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1:00am~06:00pm
치타누오바 Città Nuova 충남 당진시 합덕읍 신리1길 37-6 1층 Tel. +82.(0)10.6468.1866
'푸른 심장 이야기'를 하기 전에.. ● 최근의 나는 금속 와이어를 뜨개질 기법으로 엮어 형태를 만든다. 금속의 차갑고 단단한 특성이 뜨개질이라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성질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물에 자연물의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 식물의 요소로써 형태를 만들고 또 다시 다른 성격을 부여 하고자 동물이나 유기체의 느낌으로 형태를 마무리한다. 원래 직립하여 자라는 식물은 이미지가 전환되어 비행하거나 움직이고 있는 듯한 동물의 이미지로 공중에 설치되어 고정되기도 한다. ● 이렇게 다른 성격을 끊임없이 중첩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한 몸체나 한 주제의 작품으로 표현한다. 이것은 그저 다르기만 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완전히 반대되는 특성이 공존하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처음 누군가를 만날 때 그가 나와 다르면 불편함을 느끼며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 우리가 여기서 반드시 알아야 될 것은, 차이(다름)는 선악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색을 만나게 되는 경험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불편함으로 느껴지던 특성들에 잠시만 판단을 보류해 보자. ● 하나의 정체성하고만 나를 동일시한다면, 나는 미움, 혐오, 그리고 배척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며 악한 것이 아님에도 그 타자가 나쁘다는 의식을 갖게 된다. 그것은 분명 폭력을 수반한 감정이며 헛된 판단의 부유물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특성이나 대상과 만나게 될 때, 두려워하거나 배제하는 것 대신, 우리는 가능한 한 그 모든 특성들을 다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함께 살아가고 존중하며 공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생각이 바탕이 되어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동물성 식물이야기, 식물이면서 소화작용을 하는 식충식물이야기, 물렁해서 무용지물인 연장(tools)에 대한 이야기 등을 다루었던 회화작업으로부터 현재 진행중인 금속와이어로 뜨개질한 유기체이야기와 얼마 전에 다루었던 영상 작업 White과 None White간의 가르기와 배제를 넘어선 폭력에 대한 이야기 등은 각기 다른 내용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지만, 이들의 공통된 화두는 앞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모두 다른 특성을 가진 존재들이 서로 존중하며 공존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 '우리는 서로 달라도 함께해도 괜찮다는 것' 이 메시지는 아마도 내가 작업을 하는 마지막 날까지 가져가고 싶은 이야기가 될 것이다. ● 그래서 '푸른 심장 이야기'에 앞서 '푸른 심장'과 그간 다루어온 다른 작품들이 왜 금속와이어로 제작되었으며 식물의 요소인 잔뿌리들을 달고 있는가에 대해 조금이라도 설명이 되었기를 바란다.
푸른 심장 이야기 ● 작품 활동을 시작했던 초기에 사전적 정의엔 별 관심이 없이 그저 '앎이란 무엇인가', '상대를 진실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내내 머릿속에 머물곤 하였다. '우리가 다르다고 여기는 서로 다른 두 존재는 정말로 다른가...', '같아 보이는 두 대상의 성질은 진실로 같다고 말할 수 있는가...' ● 그렇게 늘 외부를 향하고 있던 내 관심은 최근 '앎'과 '이해'에 관련하여 내 자신에겐 어떤 반응을 해 왔는지가 문득 궁금해졌다. 그건 무언가를 만나서 그것을 알게 되고, 수많은 요소들 중에 하나의 선택에 이르게 될 때, 이 선택을 유도 하고, 이 선택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 '머리인가, 가슴인가...', 혹은 '머릿속의 뇌인가, 가슴 안의 심장인가...'에 대한 질문들이었다. 당연히 그것은 정확히 양분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의 삶에서, 의외의 순간에 알아차리고 후회하게 되었던 건 그 수많았던 선택의 기로에서 나는 나의 심장이 요동치는 반응에 대해 얼마나 냉랭하게 굴어왔는지... 이제 나이가 조금 있는 지금 시점에서야 그런 내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 나의 삶은 물론이고 주변의 지인들을 둘러보았을 때 우리 모두가 삶을 대하는 태도에 어색하고 안타까운 의문점이 생기는 부분이 있다. 어떤 선택의 순간에 우리는 자신의 문제에서 조차 이것이 공적으로 합당한가? 나 자신 보다 여러 사람에게 더 이로운가를 먼저 생각하게 되는 바로 그 지점 말이다. 감정을 드러내는 데 어색한 마음을 느끼고 감정적인 판단을 하는 자기 자신을 이성적이지 못하다고 여기며 사회적이고 공적인 의식으로써 자기 자신을 '타자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나와 관련한 문제는 최소한 내 감정에 솔직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게 당연한 것이다. 그런 선택이 이루어져야 후회도 덜고 자신의 삶을 제대로 이끌어가게 되며, 문제의 무게를 지탱하는 근력도 생기는 것이다. 이처럼 내 마음을 대변하듯, '심장'은 '뇌' 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순간에 내 삶의 현명한 안내자 역할을 이미 해오고 있었다. 그래서 심장과 관련된 최근의 작업들에선 이렇게 내 자신의 삶에 조금 더 근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또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을 내 자신에 대한 문제에서 나에게 알맞은 판단을 하게 해주는 심장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흥미로웠던 점은 인간의 장기는 모두 뇌와 연결되어 있어서 모든 정보가 뇌로 이동하고 그로인한 인지 작용과 판단이 뇌에서만 이루어진다고 생각해왔는데, 유독 심장은 뇌에서 발견되는 신경전달물질이 있어서 어느 정도는 심장 자체에서 정보 전달과 직접적인 인지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가 감정적으로 무언가를 느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었다.1) 그런 사실들이 심장 작업들에 힘을 실어주었다. ● 보통 심장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뇌(brain)와 비교되어 이성의 반대편에서 감정, 감성, 열정을 대변하는 붉은 색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두근두근, 쫄깃쫄깃' 이렇게 각종신호로써 '지금 이 길을 꼭 선택해!'라고 외치는 것 마냥, 나의 길을 미리 안내하고 인도해주는 심장은 그 얼마나 이성적이고 지혜로운가? 그래서 나는 붉은색 계열로 심장을 엮어내는 것 대신 푸른색 계열을 적용해 보았고, 그래서 이번 작업은 지혜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푸른 심장'이라 이름 지었다. ■ 이원경
* 각주 1) wonderfulmind.co.kr/the-heart-has-neurons-too
Before we talk about the Blue Heart.. ● Recently, I've been weaving metal wire into shapes using knitting techniques. The cold and hard properties of metal meet the warm and soft properties of knitting. In order to give the image of natural objects to the artificial objects made in this way, the form is made as an element of plants and the form is finished with the feeling of animals or organisms to give another character. Originally, plants that grow upright are sometimes installed and fixed in the air as images of animals that seem to be flying or moving by switching images. ● By constantly overlapping different personalities, I express various characteristics as a body or a work of one subject. This means a situation in which not onl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lso completely opposite characteristics coexist. When you first meet someone, if he is different from me, you may feel uncomfortable and have a conflict. What we must know here is that difference is not a matter of good or evil, but an experience of encountering different colors. So let's suspend judgment for a moment on the qualities that made us feel uncomfortable. ● If you identify yourself with only one identity, you will have hatred, disgust, and exclusion, and you will have the consciousness that the other person is bad even though they are not evil. It is clearly a feeling accompanied by violence and a float of vain judgment. Therefore, when encount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r objects, instead of fearing or excluding them, we should be able to accept all of them as much as possible. Only then can we live together, respect and coexist. ● Based on this idea, I am continuing my work. Among the works I've done so far are painting works that deal with "plant stories" with animal properties, "insectivore plant stories" that digest animals even though they are plants, and "tales of tools" that are too soft to play their role. And there's the ongoing story of metal-wire-knitted organisms, and the video that I've just covered, the story of violence beyond separation and exclusion between White and None White. Although they reveal different contents, their common topic is the possibility that beings with all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 each other and coexist, as mentioned above. ● 'It's okay to be together even though we are different' This message will probably be the story I want to carry with me to the last day of my work. ● So, prior to 'The Story of the Blue Heart', I hope that I have explained even at least a little why 'Blue Heart' and other works I have dealt with so far are made of metal wire and have small roots, which are elements of plants.
Blue Heart Story ● In the early days of my artistic practice, I was not interested in dictionary definitions, but the questions of 'what is knowledge' and 'what does it mean to truly understand the other' were always in my mind. 'Are two different beings that we consider to be different really different...', 'Can we truly say that the properties of two objects that appear to be the same are the same...'. ● My interest, which had always been directed to the outside world, suddenly wondered how I had reacted to myself in relation to "knowing" and "understanding" recently. When you meet something and you get to know it, and you get to a choice among a lot of factors, it's the question of whether it's the head or the chest or the brain in the head or the heart in the chest that responds to this choice. Of course this is not exactly bisected. But in my life, what I noticed and regretted at the unexpected moment was how cold I've been to my heart's beating response at the crossroads of so many choices... Now that I'm a little older, I've come to look back on myself. When I look around my life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me, there is a part where we all have awkward and regrettable questions about the attitude towards life. At any moment of choice, we tend to think first of all whether this is publicly reasonable, even in our own problems. It means the very point where you first think about whether it is more beneficial to many people than to yourself. Could it be that we all feel awkward in revealing our emotions, regard ourselves as irrational when making emotional judgments, and 'otherize' ourselves as a social and public consciousness? ● It is only natural that matters concerning me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is at least honest with my feelings. Only when such a choice is made can you have less regrets, lead your life properly, and develop muscle strength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problem. In this way, representing my mind, the "heart" has already served as a wise guide to my life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judge by the "brain" alone. So in recent work on the heart, I'm talking about the role of the heart in making the right judgment for me in a matter of myself that's a little bit closer to my own life and could be someone else's story. ● What was interesting to me was that all of our organs are connected to the brain, so I had always thought that all information goes to the brain and that cognition and judgment only happens in the brain, but the heart has neurotransmitters that are found in the brain, so to some extent, information transfer and direct cognition happens in the heart itself, so it's possible for us to feel things emotionally and make judgments, and that's what fueled my work with the heart. ● Usually, the image that the heart has is compared to the brain and tends to be expressed in red, which represents emotions, sensibility, and passion on the opposite side of reason. However, how rational and wise is the heart that guides and leads my path in advance, as if shouting 'Choose this path now!' with various signals like 'racing and pounding'? So, instead of weaving a heart in red, I applied a blue color scheme, so I named this work 'Blue Heart', which tells a wise story. ■ LEE Won-Kyoung
Vol.20230627c | 이원경展 / LEEWONKYOUNG / 李元京 / instal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