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200205g | 박주현展으로 갑니다.
박주현 블로그_blog.naver.com/paz1893 홈페이지_parkjuhyun.com
초대일시 / 2023_1006_금요일_05:00pm
관람시간 / 10:00am~07:00pm / 월요일,추석연휴 휴관
부산프랑스문화원 ART SPACE ART SPACE of French Cultural Center, Busan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로452번길 16 Tel. +82.(0)51.746.0342 artspace-afbusan.kr
나의 작업은 주로 도구를 오브제로 활용하여 작업하였다.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작품 「샘」 이후 오브제, 특히 레디메이드를 활용한 표현은 현대미술의 크고 중요한 흐름이 되었다. 작업에 사용되어진 망치나 장도리 등의 손도구에서부터 오래된 나무문이나 함지박, 가래 등의 생활용품들을 재료로 활용하여 작업을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현대미술의 흐름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브제는 예술가에 의하여 그 사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용상의 기능이나 목적으로부터 절연되어 새로운 느낌과 상징성을 가진 예술작품으로 재탄생된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오브제인 도구에 관하여 하이데거는 이 세계가 도구들로 가득한 세계이며 도구존재를 통해서 예술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고, 레비나스는 인간의 노동을 통해 무규정적이고 익명적인 세계는 비로소 인간의 생존을 위한 구체적인 사물, 도구, 수단이 된다고 하였다.
나의 작업에 사용되어진 오브제인 도구를 단순히 배치하거나 연결하는 방식과는 달리 도구의 일부를 깎거나 연마하는 등의 변형을 가하여 작업하는데, 그 결과로 사용한 도구에는 작가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부분과 도구의 본래적 형태 그대로 남아 있는 부분이 구분되는데, 이러한 작업의 특성에 관한 분석을 위하여 칸트는 작품의 외부에 있는 파에르곤이 에르곤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부수적, 장식적인 지위를 가질 뿐이라고 보았으나, 작업에서 조각칼이 닿은 부분과 닿지 않은 부분, 그리고 그 전체를 떠받치는 좌대 등은 작품의 구성요소라는 측면에서 거의 대등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 박주현
The researcher mainly used tools as her objets when creating art. Since Marcel Duchamp's artwork 「Fountain」, artistic expression using objets, and especially ready-mades, has become a huge and important movement in modern art.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er is also part of this movement as she uses hand tools such as a hammer and claw hammer and daily necessities such as an old wooden door, wooden bowl and spade to make art. The objet gets disconnected from its original purpose or function by the artist and is reborn as an artwork with a new image and meaning. In relation to tools, which are the objets mainly used by the researcher, Martin Heidegger said that this world is filled with tools and that one can determine the essence of art through the existence of tools. Emmanuel Levinas said that through human labor, the unregulated and anonymous world at last becomes a specific object, tool and means of human survival. Hannah Arendt mentioned the reversal of standing between humans and tools (machines) and the subordination of humans to tools. The researcher modifies the tools that function as objets, such as through trimming or polishing, instead of simply arranging or connecting them. As a result, the tools would have parts that directly show the artist's intent and parts that remain in the original form. To analyze the researcher's work style, parergon, which was mentioned by Immanuel Kant and Jacques Derrida, was examined. Immanuel Kant viewed that parergon, which is in the external part of an artwork, is just an extra or decorative part, compared to ergon. However, since the parts touched by the sculpting knife and the parts not touched by the knife, as well as the pedestal supporting the whole structure, etc., are all important to the point that the one can say that they are almost equal, in that they are all constituent elements of the reseacher's work, the researcher accepts the theory of Jacques Derrida, who criticized Immanuel Kant's concept of parergon. ■ Park, ju-hyun
Vol.20230927a | 박주현展 / PARKJUHYUN / 朴柱炫 / sculp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