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오룩 neo's links에서 '노정하' 단어를 검색한 결과입니다.
● 네오룩 지난호 보기에서 '노정하' 단어를 검색한 결과입니다.
● 네오룩 전체에서 '노정하' 단어를 포함한 문서입니다.
-
[20201104g]
"동물세트"들과 플라스틱 "소"가 노정하는 생경한 무생물성은 "생명 없음"을 자백하는 동시에 "거의 불멸할 것임"을, 그래서 인간들에게 호되게 비싼 대가를 요구하게 될 것임을
-
[20200708g]
, 디지털 프린트_45×94cm_2010 노정하_The woman reading a book in Venice_ 핀홀 카메라, 디지털 프린트_52×110cm_2010 노정하_The
-
[20200702i]
노정하_Weding fairy tales#1_잉크젯 프린트_110.7×140cm_2020 노정하_My Little Princess#6_잉크젯 프린트_68×55cm_2020 노정하_Love
-
[20200209b]
그러니까 여러 작업 경향을 가로지르는 이태호의 현실미학은 자신의 작업을 짱돌로 대체하려는 작가적 의도가 그 바탕임을 노정하고 있다. ● 위에서 언급한 여러 작업 스타일의 등가물처럼
-
[20190405h]
게다가 그는 오직 붉은 선만으로 피돌기의 능동적 발화를 표출하고 있는데, 기괴하고 기이한 선들에 의해 풍경은 어떤 환상성을 노정하며 미끄러지는 양상이다.
-
[20171118j]
여의도, 하나의 매듭 2017_1115 ▶ 2017_1202 / 일요일 휴관 초대일시 / 2017_1202_토요일_01:00pm 참여작가 강정민_김미숙_노정하_박소연 애프앤가이드
-
[20160402d]
On the road 김영경_노정하_안명호_전은선_최은경_최현주展 2016_0401 ▶ 2016_0424 / 월,화,경륜휴장일 휴관 초대일시 / 2016_0401_금요일_05
-
[20150923h]
근대화, 서구화, 그리고 그와 연관된 현대미술은 전통의 와해, 서구미술에 대한 오해와 오독, 그리고 자의적으로 접합된 전통과 현대 등으로 점철되어 온 그간의 상황을 고스란히 노정하고
-
[20141211e]
주체가 이런 선후관계를 고스란히 무시하고 기존의 논리에 기대어 자신의 창작의 논리를 재배치하는 순간 스스로의 주체적인 핵심을 버리고 주변의 구획에 편입되어 패턴화되는 오류를 노정하게
-
[20131226e]
노정하_14st of Manhattan_핀홀, 디지털 프린트_45×105cm_2010 노정하 는 핀홀 카메라로 여러 장소들을 촬영했다.
-
[20131219e]
선의 실재성에 대한 구상은 시대의 그물 밖에 자유로이 노정하는 초경험적, 초역사적 작업이다.
-
[20131026i]
_김제민_김주호 김태은_김태준_김혜란_김효숙_남대웅_노정하_DNA(오상석)_박방영_박상희_배진호 벤자민필립스_Another Dimension(권종수)_예추치_오경환_오민수_오유경_오효석
-
[20131024i]
이러한 집중적인 편중현상은 많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
[20130912g]
새와 어울려 노니는「조우가(鳥友歌)」, 꿈속인양 환상적인 그림자 풍정이 어른거리는「몽롱지경(朦朧之境)」은 일상에 가득한 온갖 욕망을 떨쳐내고 자연과 혼연일체 되어 행복을 노정하는
-
[20121211a]
따라서 표면이 노정하는 이미지의 겉보기에 해당한다. 그에 반하여 보여진다는 것은 대상이나 제공하는 모습을 내가 분류하고 판단한다는 것에 속한다.
-
[20121203c]
사실 그 기억이라는 것도 심하게 일그러졌거나 눌러 붙어서 재생 불가능한 망각상태를 어둡게 노정하고 있다.
-
[20121118h]
(작업노트) 따라서 김범석의 풍경은 삶의 태도와 방식을 고스란히 노정하는 삶의 풍경으로서의 종합적 풍경인 것이다.
-
[20120918h]
임현경_triangle_장지에 채색_42.5×49cm×2_2012 이 목적지향의 미학이야말로 오늘날 그 한계를 여과없이 노정하고 있는 '예술을 위한 예술'의 궤변, '순수예술'이라는
-
[20120917c]
노정하_The man under trees in Beijing_핀홀, 디지털 프린트_85×153cm_2010 신수혁_red brick depot_캔버스에 연필_80.5×100cm
-
[20120828h]
청년작가들이 서구 전위미술의 표피적 현상의 영향 하에 있었던 것과도 연관이 되고,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는 제도권 미술에 부화뇌동하면서 선배들의 궤적을 그대로 따라가는 데에서 한계를 노정하기도
-
[20120713b]
인천아트플랫폼 A, B, H동 전시장 ○ 참여예술가 강혁, 거문고앙상블 다비, 고윤, 고창선, 김선희, 김시하, 김영수, 김온, 김원범, 김제민, 김태은, 김태준, 김혜란, 김혜지, 노정하
-
[20120616h]
그러나 노정하의 사진에는 노정하가 있다. 그가 실재하는 노정하든 아니든 간에 노정하가 있다. 그의 작업이 리얼리티를 매개로 하고 있음이다.
-
[20120525f]
형상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작업은 회화적 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맥락을 노정하고, 탈문법적 배열은 잠정적 상황으로서의 공간을 연출한다.
-
[20120104a]
. +82.2.730.2560 www.nextdoorgallery.co.kr Section 3 / 그들이 사는 세상 참여작가 / 노정하_박홍순_방병상_전은선_주상연 관람시간
-
[20111031c]
그가 증거하는 도시문제, 그가 관심을 기울이는 의제는 도시재개발과 그 과정에서 노정하고 목도하는 일방적/획일적 재개발 문화에 대한 반성적 지적이다.
-
[20110926i]
, 김제민, 김태은, 김태준, 김혜란, 김혜지, 남대웅, 노정하, 라디컬인텐션, 문준용, 박상희, 박영숙, 박윤회, 박하민, 배진호, 안경수, 엘리자 펠난즈 알테다, 연희컴퍼니
-
[20110925i]
그것은 예술의 공감각적인 측면을 노정하여 관자로 하여금 다른 상상력과 영감의 세계를 환기하기 위한 것이다.
-
[20110827j]
무분별한 일방적 개발논리는 자연과 인간이 물질문명 앞에서 본연의 개성을 상실하는 슬픈 현실을 노정하게 되었고 도시를 벗어나려는 '이도(移都)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
[20110413g]
하얀 순백의 컵 상단면을 달리 보여주면서, 크기를 달리하면서 저마다 동일성 속에 무수한 차이를 노정하며 자기 존재성을 드러낸다. 획일성과 균일성, 복제성을 은연중 지운다.
-
[20110324d]
작가는 언제나 엄정한 카메라 워크, 치밀한 조명 테크닉을 동원하면서, 취미와 취향에 숨겨져 있는 사회학적 의미를 선명하게 노정하고야 만다. ■ 최봉림 Vol.20110324d
-
[20110215b]
2011_0215_화요일_04:30pm 퍼포먼스 / 2011_0215_화요일_06:00pm_계수정(뮤지션) 주최/주관 / 캔파운데이션(CAN foundation) 공동기획 / 노정하_캔파운데이션
-
[20101127k]
오픈스튜디오_2010_1127_토요일_02:00pm~05:00pm_E동 스튜디오/C동 다목적실 작가와의 대화 2010_1204_토요일_02:00pm_노정하 2010_1211
-
[20101123c]
이렇게 사랑과 미움은 모두 나와 같음으로부터 시작되는 것 같다. ■ 난다 노정하_Red Cutain_미디어_2010 노정하_love feast #1_디지털프린트_50×50cm
-
[20101111j]
대중의 일상을 살피는 이번 섹션에서는 이렇게 일상의 구석구석까지 파고든 자본이데올로기가 구현한 "스펙터클의 사회"가 노정하는 이중성을 바라보는 작가들의 시선을 살필 수 있다.
-
[20100621b]
THE ONE 노정하展 / NOHJUNGHA / 盧貞夏 / photography 2010_0616 ▶ 2010_0629 노정하_couples of Rialto in Venice_핀홀카메라
-
[20100114c]
그러나 우리는 기억의 심연이라 할 수 있는 '샘'과 그 샘으로부터 솟아 오른 기억의 물상이 심하게 일그러진 상태를 노정하고 있으며, 물상의 존재가 인간의 형상에 머무르지 않고
-
[20091106f]
다양한 표현방식을 모색하다 2009_1204 ▶ 2009_1231 초대일시_2009_1204_금요일_05:30pm 참여작가_노정하_박시찬_윤정미_임선영_전소정_최중원_홍경미
-
[20090429e]
그의 이번 근작들은 이러한 연장선상에 서있지만 그의 비판적 지성이 새롭게 전환되는 국면을 노정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
[20090428g]
, 이종빈, 박종갑, 김동연, 이태호, 이민주, 정수모, 나형민, 리경 등 45명과 영상에서 송차영, Mioon, 홍남기, 김재화 등과 사진에서 손정은, 권경용, 강수미, 노정하
-
[20090306b]
노정하_the fishmarket on Cannal st pinhole_디지털 프린트_110×200cm_2008 노정하 는 핀홀 카메라를 사용하여 특정한 공간을 재현하였는데,
-
[20080819c]
4th Artist Mapping 구성수_노정하_신유섭_이다슬_임택展 2008_0820 ▶ 2008_0901 초대일시_2008_0820_수요일_06:00pm 참여작가_구성수_노정하_신유섭_이다슬_임택
-
[20080417g]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빛은 나를 경계 한다」(2007) 에서처럼 멀리서는 무언가를 뚜렷이 본 것 같은데 가까이가면 빛이 꺼져 버려 도무지 알 수 없는 상태를 노정하기
-
[20080410e]
Oroom Gallery : 박상열_Werner Kruger 강보라_고정남_구본창_구성수_권순학_권오철_김규호_김남수 김민정_김석종_김성용_김영길_김영민_김용호_김용희_김재경 김홍희_노순택_노정하_박정희_박종우_박진영_박하선_박홍순
-
[20080313d]
노정하_예술가의 방_디지털 프린트_30×40cm_2008 뮌_관객의 방백_프로젝터, 컴퓨터, 스피커, 무대, 스크린_가변크기_2007~8 전소정_The Finale of a
-
[20080220d]
노정하_예술가의 방_디지털 프린트_79×280cm_2008 노정하_예술가의 방_디지털 프린트_40×75cm_2008 노정하_예술가의 방_디지털 프린트_30×39cm_2008
-
[20080213b]
. +82.2.722.8749 www.artbit.kr 참여작가 / 강보라_난다_노정하 나는 나를 바라본다. ● 현대예술은 단순히 미와 추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
[20071118g]
그곳은 가변적이고 불확실하며 수많은 굴곡과 편차를 노정하면서 삶을 강제한다. 아울러 도시는 자본과 권력과 문화의 차이를 선명하게 윤곽지으면서 사람들을 소외, 분리시킨다.
-
[20070519b]
주객(主客)이 하나되는 물화(物化)의 경지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박 화백의 정물 연작은 동양적 풍치(風致)를 고스란히 노정하고 있다. ● 지금으로부터 천년 전쯤인 중국 북송(北宋
-
[20070511b]
전시개막_2007_0227_화요일_05:00pm 참여작가 김윤수_김호준_노정하_박상희_박소영_송영규_송지인_신영미 심아진_심정은_안두진_이영기_이윤미_장희진_정명국_정진용_최성록
-
[20060907a]
후_NAVER_한솔제지_풀무원_유니베라_쌈지_파라다이스_3LAB_CAPS_이건마루_레이크힐스_애니콜_파브_홈 플러스_NCC_화이트_케라시스_CASS_메가패스_국민체육진흥공단 참여작가 _강영호_고낙범_구본창_김용호_김우영_김재현_김점선_김준_김중만_김지혜_김홍탁_낸시랭_노석미_노순택_노정하_데비한_리경_문형민_배영환_서상영_써니킴_안성진_어상선_오상택_오형근_윤석남_이순종_이용백_이중근_정구호_조덕현_홍성민_리우청
-
[20060521b]
기획_노정하_이현주 2006_0519 ▶ 2006_0521 Who's Who?
-
[20060412c]
그러나 우리는 기억의 심연이라 할 수 있는 '샘'과 그 샘으로부터 솟아 오른 기억의 물상이 심하게 일그러진 상태를 노정하고 있으며, 물상의 존재가 인간의 형상에 머무르지 않고
-
[20060312b]
지구촌 곳곳의 식지 않은 인간사랑의 따뜻함을 노정하고 있기에 그의 프레임은 절망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과 희망의 메시지이다. ● 그렇게 달려온 지난 15년의 세월.
-
[20051223a]
더구나 그의 작업은 '성'(性)을 바탕에 깔면서도 상당히 복잡한 감정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난해하기까지 하다.
-
[20051211a]
일시_2005_1219_월요일_5:00~9:00pm 참여작가_홍순태_주명덕_김중만_최병관_박영숙_김광수_전흥수_김정수_이갑철_황숙정_정세영_권두현_이주한_김형섭_이주형_김용우_노정하_전은선_박현두_방명주_심대원_신옥_이경애_이순심_임안나_조성연_지은경_임선영_원덕희_최문정_한유경_김남수_한상필_유희영_서인숙_윤명숙_김희정_백종현_서지영_신선주_엄효용_이경수_이민영_이주영_최원석_백지순
-
[20050622d]
매체의 특성상 지니는 장르의 한계는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논의와 그 실제에 있어서도 디테일한 한계치의 영역을 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050513b]
Hwan_디지털 프린트_90×60cm_2005 김문정_여정의 시작_점토, 유약_17×23×17cm_2004 김태진_Color Bars_싱글채널 비디오_04″40′_2005 노정하_Self
-
[20050330b]
Fashion in love Style Cube Zandari 개관 1주년 기념 기획展 2005_0325 ▶ 2005_0430 노정하_design-by-루비나 ● 위 이미지를
-
[20050218b]
노정하_Self with the candle_흑백인화_32×42cm_1999 노정하_over the window_흑백인화_32×42cm_1999 노정하_Self talking
-
[20041021a]
Pink God_컬러인화_92×75cm_2003 노정하_my little princess_디지털 프린트_2004 노정하가 만들어내는 차이와 여성 ● 노정하는 사진 작업을 통해
-
[20040829a]
반복이라고 하는 행위의 생생함, 그 메커니즘을 노정하고 싶어서 일까. 그럴 리는 없다.
-
[20040820a]
_컬러인화_100×150cm_2003 노정하_정하의 방_컬러인화_26×60cm_2001 이경애_환상의 벽_컬러인화_160×120cm×5_2004 19세기 프랑스에서 처음 탄생한
-
[20040404a]
노정하_My Little Princess_디지털 프린트_61×50.8cm_1994 오상택_그네_디지털 프린트_150×187.5cm_2004 이번 Looking Inside 전에서는
-
[20040201a]
김영도_김장순_권익현_김경하_김영길_김태오_김도태_권두현_김창주_김덕화_김안나_김양태 김민수_김용순_김영희_김기환_김영균_김종순_김에스더_김혁_김병헌_김태훈_김왈선_김근환 김태현_김혜란_김선재_강진아_김규동_김선미_김수이_노정하_류경선_류재연_라일채_민선민
-
[20031211b]
Park_컬러인화_2002 노정하_컬러인화_2003 이번 전시에서 기획자들이 각자의 의견을 조율하면서 제일 먼저 주목했던 부분은 standing points라는 제목에서 알
-
[20031203b]
초대일시_2003_1203_수요일_06:00pm 참여작가 김대수_김선회_김영경_김영길_김현민_김현웅_노정하_박일용_박홍순 성낙인_송용일_우동수_이병창_이상영_이상윤_이정록_이주형_이희상
-
[20031021a]
그리하여, 노정하는 틈을 보여주고 언저리를 드러내고 있지만 작가 자신의 시선 속에는 그런 것들에 대한 의식은 들어 있지 않다.
-
[20030715b]
한편으론 여전히 드로잉이 자기지향적이고 심하게는 자폐적인 상태를 노정하기도 한다는 측면에서 안정된 패러다임의 밖에서 방황하는 상태일 수도 있다.
-
[20020922a]
그렇기 때문에 이번 『보자기의 월장』은 '부정을 통한 긍정적 세계에 대한 열망'이라는 측면을 강하게 노정하고 있는 셈이다.
-
[20020504a]
그러나 '땅의 기억' 연작들 역시 그의 의도를 조형화하는 방식에서 몇가지 문제들을 노정하고 있었다. ● "땅".
-
[20020216a]
하늘 사이에 가로놓인 선적 요소, 주택의 짙은 고동색과 거의 무채색에 가까운 하늘의 색채대비, 이 모든 요소들이 평면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사진작업에서도 그의 평면에의 관심을 노정하고
-
[20010915a]
그래서 타자의 시선과 그들과의 차이를 의식하고, 또 그들의 영향을 흡수하는 자아가 부재(不在)를 노정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주체의 은폐에 그 혐의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
[19960206a]
광주비엔날레에 채 다듬어지지도 않은 하드웨어들로 나열되어 '정보예술; 혹은 '첨단 예술'이라 포장되었던 작품들을 돌이켜보면 이 90년대 설치미술/매체미술 또한 여러 허점을 미리 노정하고
-
[19920901b]
여기 열 일곱 명의 작가들이 내보이고 있는 제각기 다른 세계들은 다같이 차용과 인용의 방법론을 구상하고 있으면서도 직조된 결과물들은 판이한 양상을 노정하고 있다.
-
[19920721b]
그 어느 쪽이든 작가들의 인식세계의 범주가 지각 가능한 대상세계나 현상론에 제한됨으로써 정신적인 깊이를 상실하고 상상력 빈곤현상으로 노정하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